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김태기 프로필 교수 고향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

반응형

김태기 교수 프로필

 

 

노동·경제 전문가인 김태기 교수 프로필 나이 고향 학력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김태기는 1956년 부산 출생으로 2022년 기준 나이 67세 이며 권익현의 맏사위이자 임태희의 손윗동서 입니다.

 

반응형


경동고등학교를 거쳐 198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아이오와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1996년 부터 단국대학교 상경대학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단국대학교 경제학과 명예교수로 있습니다.

 


그는 1995년 청와대로 파견 근무를 나가 박세일 정책기획수석비서관(이후 사회복지수석비서관)을 도와 교육개혁과 노동개혁을 추진했으며 1996년부터는 노동개혁의 방향과 국민적 합의 도출을 위한 대통령 자문기구이자 최초의 사회적 대화 기구인 노사관계개혁위원회에서 활동했습니다.

 

반응형


김교수는 서울시 노사정위원회 위원장, 한국노동경제학회 회장,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 각계각층 인사가 모여 만든 사회단체 일자리연대 집행위원장을 맡았습니다.


정치적 활동으로는 2004년 에는 제17대 국회의원선거에서 한나라당 성동구갑에 출마했으나 낙선했으며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선거에도 새누리당 소속으로 성동구갑에 재출마했으나 낙선했습니다.

 

 

반응형


2022년 11월 29일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됐습니다.중앙노동위원장은 장관급 정무직으로 임기는 3년입니다.

한편 김 교수는 2021년 한 인터뷰에서 최저임금이 과도하게 인상됐다고 주장했는데 그는 "최저임금은 노동시장 불평등을 없애고, 빈곤층을 줄이기 위해 마련된 제도"라며 "하지만 정부가 교육 훈련 등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은 마련하지 않고, 단순히 '최저임금 인상'에만 매달리니 오히려 역효과가 나고 있다며 최저임금 인상으로 저임금 근로자들의 일자리가 사라지거나, 근로시간이 줄어드는 현상이 생긴다. 결과적으로 저소득층이 더 힘들어지고 있다며 '최저임금의 역설'인 셈"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반응형

 

주요 저서로는 ‘불평등의 기원 10대90 사회’, ‘협상의 원칙’, ‘분쟁과 협상’, ‘공공갈등의 정치경제학’등이 있습니다.

반응형
교차형 무한